top of page
PARK NAHWOE
EXHIBITION

[박나회 개인전]

​​

Nov. 24 ~ Nov. 30. 2022

​​

부서지고 남아있는 것들에서는

 

Gallery H.art bridge

박나회 (Park Nahwoe)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석사

2019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학사

 

개인전

2022  부서지고 남아있는 것들에서는 , H.아트브릿지, 서울

2021 이토록 변하지 않는 삶의 조각, 갤러리 도스, 서울

 

단체전

 

2022  2022 PATRON in SAC : 흔적위에 흔적을 다시 새기다 2차, SAC 성산아트컬쳐, 서울

           STAF 2022 START TRACK ART FESTIVAL, ADM 갤러리, 서울

 

2021 휘발된 마음, 이토록 변하지 않는 삶의 조각, 빈칸 을지로, 서울

          아시아프 & 히든아티스트 페스티벌,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전시실, 서울

2020  Art-pick open call season 2, 아트픽 갤러리, 서울

           예술시장 _ 다다, 은평문화재단, 책방비엥 , 서울

           2020 을지아트페어, 을지트윈 타워 , 서울

           데카메론의 거울, 인영 갤러리, 서울

2019  창원 청년 아시아 미술제 _ 상상피크닉, 창원 성산아트홀, 창원

          성신동양화회, 리홀아트갤러리, 서울

 

 

Park Nahwoe

 

2022 Master of Oriental Painting in the Graduate of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9 Bachelor of Oreintal Painting i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22 A few broke and remained, H.art bridge, Seoul

 

2021 A piece of life that doesn’t change, gallery DOS, Seoul

 

Group Exhibition

2022  2022 PATRON in SAC : re-carve a trace over a trace, SAC Sungsan art culture, 서울

       STAF 2022 START TRACK ART FESTIVAL, ADM gallery, Seoul

 

2021  A Butnt heart and A piece of life , Bincan_Eulji-ro, Seoul

ASIAF and Hidden Artists Festival, Hongik University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Exhibition Hall, Seoul

 

2020  Art-pick open call season 2,

Artpick gallert Artmarket _ DADA, Eunpyeong Clut, Seoul

Eulji Art Fair, Eulji Twin Tower
The mirror of a Decameron, Inyoung gallery, Seoul

2019  Changwon Youth Asian Art Festival_Imagiation picnic, Changwon Cluture Foundation, Seoul. Sungshin Oriental Painting Exhibition, Rheehall art gallery, Seoul

 

 

작가노트

  

가장 소중한 이의 죽음은 우리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사건이며 죽음 이후의 삶은 이전과 같아질 수 없다. 죽음으로 인해 생기는 트라우마와 감정들은 우리의 일상을 바꾸며 삶을 뒤흔든다. 이때 물건들은 많은 이야기를 담는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트라우마로 인해 아름다운 동화같은 추억이 아닌 상실로 인해 괴로움을 담게 되며 그렇게 흠집 난 채로 남겨진 물건들은 이러한 사건을 이야기한다. 그렇게 물건들을 마주하면서 트라우마를 대면하게 된다.

죽음에 대한 트라우마와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트라우마와의 대면이라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면을 통해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는 것은 치유와 애도의 시작이며 이렇게 트라우마를 바라보는 것을 통해 죽음과 트라우마로부터 다시 시작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일상의 순간마다 종종 죽음이 불쑥 찾아와 잊히지 않는 순간들을 정물들을 통해 나타낸다. 어딘가 익숙하지만 이질감이 드는 정물들, 버려지고, 썩고 메마른 잔해들을 통해 일상 속 죽음에 대한 불안함과 그리움을 표현하며 삶 속에서 죽음이 얼마나 강렬하게 그림자를 남기는지를, 모든 삶의 조각들은 죽음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그런 인생의 질기고 삼키기 힘든 순간들을 정물들을 통해 그리며 이를 바라보는 것을 통해 트라우마와의 대면으로부터 다시 시작하는 순간을 그려왔다.

 

그러나 어느 책에서 죽음에 대한 트라우마는 많은 스트레스를 주며 그로 인해 트라우마를 겪은 인간은 더욱 유약해진다는 글을 읽었다.

그 글을 읽는 순간 마음이 무거웠다. 나는 이겨낼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기에 그 말에 반대되는 상황을 찾아보려고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무력감만 들었다. 그러나 내가 노력하지 않아도 스스로 이겨내는 부분들이 있었고 이렇게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는 부분들은 마치 식물의 자생 능력과 비슷하다고 느꼈다.

씨앗들은 몇 년 동안 방치되어도 물과 햇빛이 있다면 다시 살아나고, 낡고 오래된 고목이라고 생각한 나무들은 어느새 새 잎이 돋아나기도 하며 겨울에 말라비틀어진 덩굴과 잡초들은 여름에 다시 살아난다.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옛 미술 바니타스 정물화에서의 식물 도상들은 시들기 때문에 유한한 삶의 덧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식물들은 그렇지 않는다.
나는 사람들도 그렇게 이겨내고 괜찮아질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기에 살면서 트라우마가 불쑥 튀어나와서 괴롭힐지라도 다시 이겨낼 수 있다는 의미를 식물 도상들에게 부여하고자 한다.

  

Author's Statement

  

The death of the most precious person is something that can have the greatest impact on one's life, and it can never be the same as before. Trauma and emotions caused by one's death can change and shake our daily lives. Objects contain many stories in times like this. However, due to the fear and trauma of losing a loved one, the object is not a beautiful fairytale-like memory, but rather become a painful one. The objects left with such scratches tell of such an event.  When facing objects like that, people confront their trauma.

In order to overcome the trauma and pain of death, a process called 'confrontation with trauma' is necessary.  Facing the problem and recognizing it properly is the beginning of healing and mourning, and with this perception of trauma, we can start over.

 

That is why, in every moment of everyday life, death often comes suddenly, and the unforgettable moments are expressed in still lifes. It expresses anxiety and longing for death in everyday life through familiar but alien still lives, abandoned, rotten, and dry remains. Through still lifes, I paint the tough and difficult moments of life to show how intensely death leaves a shadow in life and that all pieces of life come from death. Through looking at it, I have drawn the moment of starting over from the confrontation with the trauma.

 

However, I have read in a book that the trauma of death gives a lot of stress and that the traumatized person becomes more vulnerable.

My heart was heavy the moment I read that article.

I am a person who believes in being able to overcome it, so I try to find the opposite of that, but I only feel helpless because there is nothing I can do. However, there were parts that I could overcome on my own without even trying. I felt that the parts that get better with time are similar to the ability of plants to grow themselves.

Even if the seeds are left unattended for several years, they will come back to life if there is water and sunlight, and new leaves may appear on the trees thought to be old and old trees. Vines and weeds that wither in the winter come back to life in the summer.
 

Botanical icons in the old art vanitas still life of death wither. Therefore, it means the ephemeral life of a finite life, but not in the case of real plants.
I believe that people will overcome it and soon it will be okay again. Therefore, I would like to give the botanical icons the meaning of being able to overcome even the sudden torment of trauma in life.

bottom of page